상세보기
명칭 | 송근수(宋近洙) |
---|---|
분류 | 문신 |
시대/생몰년 | 1818~1903 |
형태 | |
언어 | |
지역 | 청주 |
자료출처 | 청원군지 |
조선후기 문신. 본관 은진(恩津). 자 근술(近述), 호 입재(立齋)․남곡(南谷). 우암 송시열의 8세손이며 부친은 흠학(欽學)이다. 흠락(欽樂)에게 입양되었다.
1848년(헌종 14) 무신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대사헌․공조판서․병조판서․이조판서․좌찬성․우의정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좌의정이 된 뒤 1882년(고종 19) 5월 정부의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교섭에 반대하여 상소를 올렸다. 이 상소에서 양교(洋敎), 즉 기독교의 폐해를 지적하고 일본 이외의 외국과의 조약체결을 반대하는 한편, 청나라에 파견된 영선사(領選使)의 철환(撤還)도 주장하였다. 퇴직 후에는 봉조하(奉朝賀)가 되었으며, 저서로는 '송자대전수차(宋子大全隨箚)가 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키워드 | 송근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