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명칭 최득평(崔得枰)
분류 인물
시대/생몰년 1260~1334
형태
언어 한국어
지역 청주
자료출처 청원군지

고려조 문신. 본관 전주. 초명은 계보(系寶). 청주시 북이면 대율리 출신. 문열공(文烈公) 순작(純爵)의 5세손이며 부친은 중랑장(中郎將) 정신(正臣)이다.

1277년(충렬왕 3)에 18세로 벼슬길에 올라 원능직(元陵直)이 되었고, 1279년(충렬왕 5)에는 사경원판관(寫經院判官)으로 옮겼다. 그 후 군기주부(軍器主簿)․위위주부(衛尉主簿)․당후관(堂後官)․통례문지후(通禮門祗侯)가 되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간당 사인랑(忠諫堂司印郞)에서 전중시사(殿中侍史)로 옮겨 대강(臺綱)을 다시 떨치다가 세도하는 근신에게 미움을 사서 파면되었다. 1301년(충렬왕 27)에 통례문지후로 복직한 후 종묘령(宗廟令)․군부시랑(軍部侍郞)을 거쳐 1305년(충렬왕 31)에는 안렴사(按廉使)로 전라도를 순행하고, 이 해에 통례문령(通禮門令)이 되었다. 그 후 감찰시사(監察侍史)․전농사승(典農司丞)․의부직랑(義部直郞)․총부직랑(總部直郞)․사정판관․중현대부내부령(中顯大夫內府令)․전라도체찰사 등의 요직을 거쳤다.

1318년(충숙왕 5) 선부의랑(選部議郞)․내부령(內府令)이 되었다가, 1319년(충숙왕 6) 상주목사․김해목사가 되니 치적이 맑고 공평하였다. 두 곳의 업적이 조정에 알려졌으나 강직한 성품 때문에 여러 차례 미움을 당하여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상경하게 되었고, 상경 길에 청주를 지나다 대율리에서 살게 되었다. 왕이 통헌대부선부전서상호군(通憲大夫選部典書上護軍)으로 삼았으나 사직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1334년(충혜왕 3)에 75세로 별세하였다.

키워드 전주최씨, 고려 문신, 북이면 대율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