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명칭 | 유신(柳伸) |
---|---|
분류 | 인물 |
시대/생몰년 | ?~1104 |
형태 | |
언어 | 한국어 |
지역 | 청주 |
자료출처 | 청원군지 |
고려중기 명신. 본관 전주. 초명 인(仁). 기거사인(起居舍人)을 거쳐 청주목사가 되었는데 정치를 잘하였다. 1087년(선종 4) 예빈소경(禮賓少卿)으로 고주사(告奏使)가 되어 요나라에 다녀왔고, 1093년에는 공부시랑으로 사은부사(謝恩副使)가 되어 송나라에 가서 ‘책부원구(冊府元龜)’를 가져왔다. 이어 급사중지주사(給事中知奏事)를 거쳐 1101년(숙종 6) 예부상서 동지추밀원사 한림학사승지에 임명되고, 1103년에는 좌복야 정당문학에 올랐다. 문종에서 숙종까지 5대를 섬기면서 충의로 일관하였다. 서예에 뛰어나 김생(金生)․최우(崔禹)․탄연(坦然) 등과 함께 신품사현(神品四賢)으로 일컬어지며, 특히 행서와 초서를 잘 썼다. 전라남도 승주군 송광사의 불일보조국사탑비(佛日普昭國師塔碑)를 썼다. 상서우복야 정당문학으로 죽자 참지정사를 추증하였다. 시호는 충신(忠愼)이다.
키워드 | 전주유씨, 고려 중기 문신, 청주목사, 서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