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 이수일(李守一) |
---|---|
분류 | 무신 |
시대/생몰년 | 1554~1632 |
형태 | |
언어 | |
지역 | 충주 |
자료출처 | 충주시지 |
조선 중기의 무신. 자는 계순(季純), 호는 은암(隱庵)이며, 본관은 경주이다. 중 영의정 이난(李鸞)의 아들이며, 우의정 이완(李浣)의 아버지이다. 충주 서촌의 시곡(柿谷)에서 태어났으니 지금의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嶺山里)이다. 선조 16년(1583)에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訓練院)에 예속되었다가 19년(1586) 소농보권관(小農堡權管)이 되었다. 23년(1590)에 선전관(宣傳官)이 되고, 이듬해 장기현감(長髻縣監)으로 나갔다.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분전했으며, 이듬해 밀양부사(密陽府使)에 이어 경상좌도(慶尙左道)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에 발탁되어 왜적을 격퇴한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다. 그 뒤 회령부사(會寧府使)에 이어, 30년(1597, 정유)에 나주 목사를 거쳐,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성주목사(星州牧使)가 되었으나 명령을 어겨 장형(杖刑)을 받고 종군했다. 32년(1599)에 북도방어사(北道防禦使)에 이어 북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가 되었다. 35년(1602) 북도 병마절도사로 야인의 소굴을 소탕하고,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가 되었다. 39년(1606) 길주목 사(吉州牧使)로 방어사를 겸하고, 이듬해 수원부사(水原府使)에 이어 다시 북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광해군 3년(1611)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로 지훈련포도대장·원유제조(園囿提調)를 겸했다.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평안도 병마절도사 겸 부원수가 되어 안현(鞍峴)에서 반란군을 무찔러 서울을 수복한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 2등에 책록되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졌다. 6년(1628)에 형조판서가 되고, 9년(1631)에 남한수어사(南漢守禦使)에 임명되었으나 노쇠함을 이유로 사양하여 나가지 않았다. 묘소는 충주시 금가면 석교리에 있으니 현재의 오석리(梧石里)이다. 묘소의 서쪽 앞에 사당인 충훈사(忠勳祠)가 있으며, 그 앞으로 이경흥(李敬興)이 쓴 신도비가 있다. 묘역은 충청북도기념물 제21호로 지정되고 있다. 좌의정에 증직되고 충무라 시호했다.
키워드 | 이수일, 계순, 은암, 경주 이씨, 이난, 이완, 시곡, 임진왜란, 경상좌도 수군절도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