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명칭 | 김공정(金公鼎) |
---|---|
분류 | 공신 |
시대/생몰년 | |
형태 | |
언어 | |
지역 | 충주 |
자료출처 | 충주시지 |
고려 고종 때의 공신이다. 고종 18년(1231) 몽골군의 1차 침입시에 충주에서는 노군잡류별초(奴軍權類別抄)에 의해 몽골군을 물리친 일이 있다. 이때 도망쳤다 돌아온 양반별초(兩班別抄) 등 관리들이 자기네의 살림이 없어진 것을 노군들의 소행으로 보고 벌을 주려고 하자 이듬해 정월에 관노들이 난을 일으켰으니 이것이 충주 관노(官奴)의 난이다. 이 난을 수습코자 중앙의 실권자인 최이(崔怡)가 재추(宰樞) 등을 모아 발병(發兵)할 것을 의논할 때 충주판관 유홍익(硬洪翼)이 사신을 보내와 회유할 것을 청하므로 봉어(奉御) 김공정(金公鼎)과 주서(注書) 박문수(朴文秀)를 극비리에 안무별감(按撫別監)을 삼아 충주에 보냈다. 박문수는 난의 주모자 지광수(池光守)와 승려 우본(牛本)을 데리고 개경(開京)으로 돌아갔으며, 김공정은 난의 평정을 충주에서 기다렸다. 최이는 지광수에게 교위(校尉) 벼슬을 주 고 우본은 대원사(大院寺) 주지를 삼고 삼중을 더하여 큰 상을 주었다.
키워드 | 김공정, 충주 관노의 난, 최이, 박문수, 안무별감, 교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