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 임봉춘(林奉春) |
---|---|
분류 | 독립운동가 |
시대/생몰년 | 1899.5.29~1971.3.10 |
형태 | |
언어 | |
지역 | 영동 |
자료출처 | 영동군지 |
충청북도 영동(永同) 사람이다. 그는 1919년 4월 2, 3일 충북 영동군 매곡면(梅谷面)에서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하였다. 평소 항일의식이 투철하던 임봉춘은 3 · 1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상황에서 만세운동을 일으키기로 결심하고, 3월 말부터 만세운동을 계획해 갔다. 4월2일 밤나무 양묘장 작업 때 사람들이 모이는 것을 이용하여 만세시위를 일으키고자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인쇄 · 제작하였다. 그리하여 4월 2일 오전 11시를 기해 그는 선언서와 태극기를 면민 백여 명에게 배포하면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이어 시위대는 매곡면사무소로 향하여 시위를 저지하려는 면장과 면직원에게 독립만세를 고창하게 하는 등 항일투쟁을 격렬하게 전개하였다. 이들은 매곡면사무소에서 시위를 빌인 다음 황간면(黃潤面)으로 향하였다. 이날은 마침 황간 읍의 장날이라 그곳에서 보다 크게 만세시위를 전개하기 위함이었으나, 시위대가 황간에 도착했을 때는 시간이 너무 늦어 대부분의 시장이 철시 중이라 크게 만세시위를 일으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매곡면에서의 만세 열기는 계속 이어져 다음날인 4월 3일 밤에 군중 백여 명이 면소재지인 노천리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하였고, 일본인을 앞세워 만세를 부르게 하는 등 만세시위를 계속하였다. 4월 4일 오전 11시에는 군중 8백여 명이 면사무소에 집결하여 면사무소 마당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만세를 고창하였다. 이 때 추풍령 헌병분견대 및 수비대가 출동하여 안광덕(安光德) · 남도학(南道學) 등 주동인물을 체포해 가자, 시위대는 이들을 구출하기 위하여 추풍령까지 추적했으며, 4월 5일에는 추풍령 헌병분견소 창고를 불질러 태우는 등 격렬하게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임봉춘은 연일 계속되는 시위의 선두에 서서 활약하다가 일경에 피체되었다. 이 일로 1919년 4월 23일 공주 지방법원 대전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 2월을 받아 공소하였으나 7월 5일 경성 복심법원에서 기각,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 하였다.
키워드 | 임봉춘, 독립운동가, 만세운동, 삼일운동, 항일투쟁, 보안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