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명칭 고지도 청주
분류 역사
시대/생몰년 1758-1767
형태 채색필사본
언어 한문
지역 청주
자료출처 청주의 고지도

  <고지도>는 제작 연도 미상의 지도집으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본 지도는 <고지도>에 실려 있는, ‘청주’에 대한 회화식 채색 지도이다. 그 회화의 특징으로 미루어 18세기 후반 이후 19세기 중엽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방위 표시는 되어 있지 않으나 상단이 북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사방의 경계는 일부는 표시하고 일부는 생략하는 등 온전하게 표시되어 있지 않다. 상하로 길고 좌우로 폭이 좁은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동서 경계가 생략된 것은 이와 같은 지도 제작상의 제약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 지도는 무엇보다 회화식 채색 지도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기존의 지도를 참고하여 부분을 그린 뒤 각 부분을 합치는 형식으로 제작된 듯하다. 기존의 채색 지도에는 산천(山川)이 관념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반면 이 지도에는 산, 바위, 하천, 가옥, 다리, 숲, 나무 등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 그리하여 이 지도는 19세기 청주의 지형과 지물을 실제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아울러 이 지도에는 여타의 청주 지도에 나오지 않는 지명이 여럿 보인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읍성은 장방형이 아닌 둥근 형태를 띠고 있으며, 서, 남, 북쪽에 성문이 그려져 있다. 읍성 안에 는 ‘본부(本府), 서원관(西原舘), 옥(獄), 작청(作廳), 향청(鄕廳), 형청(刑廳), 삼충사(三忠詞), 홍문(紅門)’이 사실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읍성 동쪽 가까이에 ‘향교(鄕校)’가 그려져 있고, 그 북쪽으로 목암사(牧岩寺)’라는 절이 나온다. 우암산이 그려져 있으나 그 명칭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우암산 산줄기 끝에 ‘상당산성(上黨山城)’이 그려져 있고, ‘산영(山營)’이라 적혀 있다.
  서쪽으로는 ‘사직단(社稷壇)’과 ‘연융대(鍊戎臺)’가 표시되어 있고, 서문 앞 무심천에 다리가 그려져 있는데 그 명칭은 나오지 않는다. 이 다리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나오는 ‘신교(新橋)’로 추정된다. 이 지도에 무심천 줄기는 그려져 있으나, 그 명칭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작천의 경우는 물줄기조차도 그려져 있지 않다. 읍성 남문을 나와 남석교에 이르기 전에 좌우로 ‘반구대(反求臺)’와 ‘중영(中營)’이 표시되어 있고, 이어서
남석교가 ‘南石橋’라는 명칭과 함께 물줄기에 크게 그려져 있다. 그리고 남문 오른쪽으로 ‘탑동(塔洞)’이라 는 동네가 그려져 있다. 북쪽으로는 ‘북수(北藪), 여제단(厲祭壇), 율봉도(栗峯道)’가 보인다. ‘북수’가 무심천 서쪽으로 울창한 숲과 함께 표시되어 있고, ‘율봉도’가 화려한 부속 건물과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동북쪽의 산내이상면(山內二上面)이 보은 및 회인과 경계를 이룬다. 서북쪽의 장명역(長明驛)이 목천과 경계를 이루고, 서남쪽의 덕평면(德坪面)이 전의와, 남차이면(南次二面)이 연기와 경계를 이룬다. 남으로는 남이면(南二面)과 주안면(周岸面)이 문의와 경계를 이루고, 북으로는 북강내일면(北江內一面)의 북쪽이 진천과, 청천면(靑川面)의 서북쪽이 청안과 경계를 이룬다.

키워드 청주, 고지도, 읍성, 율봉도, 서원관, 옥, 작청, 향청, 형청, 삼충사, 향교 우암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