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명칭 양주학(梁柱學)
분류 학자
시대/생몰년 1850(철종 1)∼1923
형태
언어 한국어
지역 보은
자료출처 보은군지

조선 말기의 학자로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필성(必成), 호는 국하(菊下)이다. 눌재(訥齋) 양성지(梁誠之)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양종원(梁鍾遠), 아버지는 지당(趾堂) 양경수(梁景洙)이다. 회남면 금곡리 태어났다. 가학(家學)으로 아버지에게 수학하다가 어당(峿堂) 이상수(李象秀)에게 배우고, 신응조(申應朝)와 입재(立齋) 송근수(宋近洙)에게도 배웠다.

과거 공부를 그만두고 평생 성리학에 몰두하였으며 후진 양성에 힘써 문하에서 많은 제자를 배출하였으며, 유림들에 의하여 추양정사에 배향되었다. 저서로 어린 아동들을 위한 교재 『면회초훈(免懷初訓)』, 『백조유몽(白條幼蒙)』, 『명심소결(明心小訣)』 등이 있다.

키워드 남원양씨, 필성, 국하, 회남면 금곡리, 면회초훈, 백조유몽, 명심소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