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 초평면 화산리 사산마을 산신제 |
---|---|
분류 | |
시대/생몰년 | 조선~현재 |
형태 | 타원형 돌,원형 돌탑,느티나무,향나무,대리석 상석,비석 |
언어 | |
지역 | 진천 |
자료출처 |
화산리 사산마을은 현재까지 음력 정월보름 전후 주말을 제일로 삼아 오전 10시에 산신제를 올린다. 사산마을 산제는 오랫동안 단절되었다가, 1990년대 초에 복원되었다.
산신제장은 마을 뒷산 자락에 위치한다. 예전 산제장은 산 정상 부근이었으나, 산신제를 복원할 때 서낭터 근처로 산제장을 옮겼다.
산제장은 돌과 돌탑 2기, 느티나무, 향나무, 상석과 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타원형 돌을 중심으로 양쪽에 원형의 돌탑이 세워져 있고, 중앙의 돌 뒤로 느티나무가, 앞에는 대리석 상석과 ‘두타산산왕대신’이 각자된 비석과 향나무가 서 있다. 제장 주변에 잔디를 조성하여 관리하고 있다.
사산마을 산제장은 산신제 복원할 때 제장 중앙의 큰 돌만 있었다가, 2010년대 양쪽 돌탑을 쌓았고, 이후 상석을 만들어 제수를 진설하는 등 여러 해에 걸쳐 제장이 조성되었다.
제관은 별도로 선출하지 않고 마을의 책임자가 맡아 한다.
제수는 떡시루와 돼지머리, 삼식실과 등을 올린다. 과일은 해에 따라 오색실과까지 올리기도 한다.
사산마을 산제에는 금줄치기 등 금기 사항이 없다. 마을 주민들이 마음을 정결히 하여 제사에 참여한다.
제사 준비는 산제장 정비로 시작한다. 제장 정비 후 제장 뒤에 서 있는 느티나무부터 소창 천을 좌우로 펼친 뒤 제수를 진설한다.
산제의 주관은 마을 상조회 중심으로 이뤄지며, 마을 주민과 출향인사까지 모두 참사한다.
제사 차례는 일반 유교식 차례에 준하여 진행한다. 제주인 노인회장을 시작으로 이장, 상조회장과 제사에 참여한 주민 중 나이순에 따라 헌작과 재배를 한다. 사산마을 제사 차례 중 특이점은 보현사 스님이 축원을 하는 것이다.
산신제를 지낸 뒤 참사자들이 제장에서 음복을 하며, 제장에 제수를 봉송하고 광목에 포를 둘러 주변 나무에 걸쳐 놓는다. 이후 마을회관으로 와서 대보름행사를 겸해 마을잔치를 벌인다.
키워드 | 화산리 사산마을 산신제,보현사 스님 축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