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명칭 산외면 문암리 산제, 동고사
분류
시대/생몰년 조선~현재
형태 당사,느티나무,돌장승
언어
지역 보은
자료출처

문암리는 정월 초이틀 자시에 산제를 올리고 다음날 오전 10시에 동고사를 지낸다. 원래 제일은 정월 열나흘 자시였으나 정월 초이틀 자시로 변경되었다. 산제당은 마을 뒷산 복식골에, 동고사 제장은 총 4곳으로 마을 안, 마을 입구, 구티2교 옆에 위치한다. 산제당은 돌담을 쌓고 슬레이트 지붕을 얹은 당사 형태로, 제단이 있으며, 제기가 보관되어 있다. 동고사 제장 중 마을 안 제장과 마을회관 제장은 느티나무이고, 나머지 제장은 돌장승이다. 제관은 생기복덕에 맞춰 축관과 공양주를 선출하였으나, 2000년대부터 이장과 새마을지도자가 맡아한다. 제관은 2일간 근신하며, 부정한 경우 보름 안에 재택일을 한다. 제수는 돼지머리, 삼색실과, 백설기, 사과, 배, 포, 메, 삼채, 탕을 진설하고, 동고사에는 삼색실과와 포를 올렸으나, 현재 백설기, 삼색실과, 명태포, 술을 진설하는데, 산제당과 구티2교 옆 장승에는 원시루를 올리고 나머지 제장에는 떡 한 숟가락씩 떼어서 놓는다. 제사에는 부정하지 않은 사람들만 참사 가능하다. 제사는 유교식 기제사로 진행하며, ‘산제당-마을안 제장- 마을회관 제장-구티2교 옆 제장-문암리 교회 앞 제장’ 순으로 올린다. 원래 제순은 ‘산제 후 윗말 느티나무-마을안 등나무-구티문암사이 소나무’ 순으로 올렸다. 소지의 경우 산제를 지낼 때만 호별 소지를 올린다. 제사가 마무리되면 당일 주민들이 음복한다. 문암리의 제일은 한국전쟁 이후 변경되어 정월대보름 풍속과 연결하여 주민들이 올렸으나, 후에 제일이 정월 초로 변경되었다. 구티와 문암 사이에 있던 소나무 제장은 2010년 고사하여 재식재하여 제장을 신체를 갖추었다고 한다.

키워드 문암리, 산제,동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