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명칭 | 봉서정(值棲亭) |
---|---|
분류 | 충북의 누정, 여 |
시대/생몰년 | 1602년 |
형태 | |
언어 | |
지역 | 단양 |
자료출처 | 충북의 누정, 여 |
단양 객사(丹陽 客舍)앞의 남천(南川)변 이요루(二樂樓)남쪽에 있던 정자로 1602년(선조35)단양군수(丹陽郡守)이준(李浚, 1560~1635)이 세운 것으로 군수 (郡守)조정세(趙靖世)가 1764년~1769년 사이에 퇴락한 것을 세로이 지었고, 군수(郡守)심원택(沈元澤)이 1853년~1854년 사이에 중수하였다.
이준(李垵, 1560-1635)이 지은 기문(記文)이 있으며, 정경세(鄭經世, 1563-1633), 윤순거 (尹舜擧, 1596-1668), 송준길(宋浚吉, 1606시672), 김수흥(金壽興, 1626-1690), 김수항(金壽 恒, 1629-1689), 남학명(南鶴鳴, 1654시722), 이세구(李世龜, 1646-1700), 이만부(李萬 敷, 1664-1732), 김창흡(金昌翕, 1653-1722), 오원(吳瑗, 1700-1740), 성해음(成海應.1760-? ), 우진환(禹震煥, 생몰년미상), 송병선(宋秉瑢, 1836-1905), 이명재(李命宰, 1837-1905)등이 다녀간 기록이 남아 있다.
서성(徐洛, 1558-1631), 이춘원(李春元, 1571시634), 이안눌(李安訥, 1571시637), 조 찬한(趙纘韓, 1572-1631), 이경석(李景良1595-1671), 조석윤(趙錫胤, 1606-1655), 박장원(朴
長遠, 1612-1671), 남용익(南龍翼 J628-1692), 임방(任堃, 1640-1724), 김창협 (金昌協, 1651~1708), 최석항(崔錫恒, 1654-1724), 임수간(任守幹, 1665-1721), 윤봉조 (尹鳳朝, 1680~1761), 은봉구(尹鳳九, 1683~1767), 황택후(黃宅厚, 1687~1737), 남유용 (南有容, 1698-1773), 황경원(黃景源, 1709-1787), 이헌경(李獻慶, 1719-1791), 유한준(俞漢 雋, 1732-1811), 홍양호(洪良浩, 1724~1802), 유세명(柳世鳴, 1636-?), 지운호(池運 浩, 1793~1864), 강수환(姜授桓), 이명재(李命宰, 1837~1905), 허격(許格), 이운영(李運 永, 1722-1794)등이 지은 시(詩)가 남아 있다.
[여지도서] 鳳棲亭(在二樂樓南萬曆壬寅創建)
키워드 | 충북의 누정, 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