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명칭 백석정
분류 충북의 누정
시대/생몰년 1677년(1927년 중건)
형태 흩처마 팔작지붕 목조기와집
언어
지역 청주
자료출처 충북의 누정

백석정은 청원군 낭성면 관정리 감천甘川가에 북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뒤로는 울창한 숲으로 둘러져 있고 앞은 흐르는 맑은 물을 바라볼 수 있어 자연과의 교환 속에 시를 짓거나 휴식하기에 적합한 곳이다. 정자 이름은 물가에 기묘하게 돌출 한 흰 바위에서 유래한다. 백석정은 동부주부東部主簿를 지낸 백석정 신교申攪(1641~1703)가 조선 숙종 3년(1677)에 세웠다. 신교는 백석정을 짓고 은일하다가, 50세인 1690년에 아우인 반회당 학淳과 월헌 협浹이 각각 승지와 정언에 오르자 이에 음직蔭職으로 출사하여 북부참봉北部參奉 등을 지내고 61세경 고향으로 돌아왔다. 저서인 『마사초馬史抄』에 한시뿐만 아니라 가사와 시조 작품을 남겼다. 본래의 건물은 중간에 퇴락하여 없어지고 현재의 백석정은 1927년에 후손들이 현 위치 에 중건한 것이다. 현재의 백석정은 정면 2칸, 측면 1칸의 흩처마,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으로 되어 있다. 건물구조는 1단의 낮은 자연석 기단 위에 자연석 초석을 놓고, 그 위에 모죽인 각형 기둥을 세웠다. 배면 가운데 기둥을 다듬지 않고 자연 그대로 사용한 것이 특이하다. 이는 인공적인 건축물은 곧 자연의 임부이며, 확장이라는 조영자의 자연주의적 태도를 확인함 수 있는 사례이다. 내부 바닥은 장마루를 깔았으며, 누마루 주위로는 남측은 머름난간, 나머지 삼면은 통머름난간을 설치하였다. 천장의 중도리 부분은 판반자를 설치하고, 중도리와 처마도리 사이는 서까래가 노출된 연등천장으로 하였다. 가구형식은 5량가이며, 도리 및 장여 밑에 소로를 받쳐서 장식한 소로수장집이다.

키워드 충북의 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