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명칭 | 고산정(孤山亭) |
---|---|
분류 | 충북의 누정 |
시대/생몰년 | 1596년 |
형태 | 팔작지붕 목조기와집 |
언어 | |
지역 | 괴산 |
자료출처 | 충북의 누정 |
조선 선조(宣祖)29년(1596)에 충청도 관찰사인 서경(西坰)유근(柳根)선생이 이곳의 풍광을 사랑하여 만송정(萬松亭)과 고산정사(孤山精舍)를 짓고 광해군(光海君)때 낙향하여 은거하였다.
숙종(肅宗)21년(1695)에 고산정사가 화재로 전소되었다.
호서 읍지(湖西邑誌)나 충청도읍지(忠清都邑 地)에도 기록이 없는 것을 보면 다시 재 건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어 지금 고산 정(孤山亭)이라 부르는 건물은 만송정(萬 松亭)으로 보인다.
정자 밖에는 완산(完山)이원(李元)이 쓴 "고산정(孤山亭)"이라는 현판이 걸려있 고 정자 안에는 유근(柳根)선생이 원접사(遠接使)로 맞았던 명나라 사신(使臣)주지번(朱之番)이 "고산지승도(孤山之勝圖)"를 보고 감탄하여 선조(宣祖)39년(1606)에 쓴 “호산승집(湖山勝集)”이라는 편액과 역시 유근(柳根)선생이 원접사로 맞았던 명나라 사신(使臣)능화(能化)가 광해군(光海君)1년(1609)에 쓴 “고산정사기(孤山精舍記)” 의 편액이 있으며 이 밖에 “고산지승도(孤山之勝圖)" 를 보고 주지번(朱之番)이 지은 장시(長詩)와 유근(柳根)선생의 차운시(次韻詩)그리고 주지번의 부사(副使)양유년(梁有年)이 지은 고산구경시(孤山九贵詩)편액이 걸려있다.
키워드 | 충북의 누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