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명칭 | 遊島潭記 |
---|---|
분류 | 산수유기 |
시대/생몰년 | 1643년(인조21) 이전 |
형태 | 목판본(木版本) |
언어 | 한문 |
지역 | 단양 |
자료출처 | 初菴別集 권2 |
본집은 원집 12권, 별집 2권 합 4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목록과 1663년에 趙絅이 쓴 敍가 있다.
권1~6은 詩로 384題 520首가 수록되어 있는데 맏형인 竹堂의 시에 차운한 시가 많다. 장소, 관직, 연도 등으로 詩錄의 제목을 붙여 편차하여 저자의 행력을 한눈에 알 수 있다. 권1에는 1647년에 처음으로 그동안의 저작을 모아 정리하고 쓴 自編序가 맨 앞에 있고, 부친상을 당하여 호남으로 내려가 있던 시기의 저작인 玉川稿(26제 47수)와 서울로 올라와 승문원에 재직하던 시기의 저작인 槐院錄(29제 35수)이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휴가를 받아 호남으로 내려가면서 금강에 들렀을 때의 저작인 錦水紀興(48제 50수)과 만시가 대부분인 蘭臺雜詠(24제 40수)과 1651년의 저작인 辛卯雜稿(15제 31수)가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玉果 縣令으로 재직할 때의 저작인 雪山錄(62제 77수)이 수록되어 있는데, 맨 앞에 1654년에 쓴 자편서가 있다. 권4에는 옥당에 재직할 때의 저작인 玉堂漫吟(7제 10수), 1654년 여름에 휴가를 얻어 송도로 부모를 뵈러 갔을 때의 저작인 松都錄(15제 15수)과 松都後錄(7제 14수)이 수록되어 있다. 권5에는 迎慰使의 問禮官으로 차출되어 義州에 갔을 때의 저작과 安州 敎授로 재직할 때의 저작인 西關錄 上(83제 108수)이 수록되어 있는데, 〈平山客館寄延安鄭使君子濟〉 다음에 1654년에 쓴 자편서가 편차되어 있다. 권6에는 西關錄 下(60제 83수)와 1656년 1월부터 5월 졸하기까지의 저작인 病中雜吟(8제 10수)이 수록되어 있다.
권7에는 賦 2편, 表 2편, 箋 4편, 奏 1편, 制 1편, 批答 1편, 頌 1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表, 奏, 制는 모두 擬作이고, 箋은 모두 방백을 대신하여 지은 代作이며, 비답은 좌의정 金堉의 初度呈辭에 대한 不允批答이다.
권8에는 疏 8편과 箚 2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사직소가 5편으로 예문관 봉교, 실록청 낭청, 부수찬, 수찬, 부교리를 사직하는 상소이고, 이 외에 병자호란에 전사한 崔震立과 辛悌立 등을 淸白에 녹봉하고 贈諡할 것을 청하는 〈爲故參判崔震立軍官辛悌立等乞錄淸白贈諡疏〉와 옥과 현령에 재직할 당시 백성의 폐단을 아뢰는 〈癸巳在玉果時略陳民瘼疏〉 및 〈應旨進言疏〉가 있으며, 옥당에 재직할 때 올린 〈玉堂應旨箚〉와 〈玉堂箚子〉가 있다.
권9에는 書 5편과 序 5편이, 권10에는 記 7편이, 권11에는 論 1편과 雜著 8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편지는 月課로 지은 〈代張旭寄吳道子書〉 외에 楊汝梅와 權克中에게 보내는 편지와 순찰사에게 올리는 편지이다.
권12에는 祭文 10편, 碑誌 3편, 行狀 2편, 尺牘 5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제문은 기우제문이 4편이고, 先祖의 묘에 올리는 제문이 2편이며, 나머지는 당시의 인물에 대한 제문이다. 척독 가운데 正字 梁燾에게 답한 편지 2편은 양도의 조부 梁慶遇의 문집 간행과 관련한 내용이다.
별집의 권1은 弱冠錄 上으로 20세 이전에 지은 詩가 수록되어 있고, 권2는 弱冠錄 下로 20세 이전에 지은 文이 수록되어 있다.
키워드 | 단양, 사군산수, 申混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