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명칭 | 최학수(崔學洙) |
---|---|
분류 | 학자 |
시대/생몰년 | 1781(정조 5)∼1818(순조 18) |
형태 | |
언어 | 한국어 |
지역 | 보은 |
자료출처 | 보은군지 |
조선 후기의 학자로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사종(士宗), 호는 지담(志潭)․정재(情齋)이다. 계당(溪堂) 최흥림(崔興霖)의 후손이며, 목재(睦齋) 최덕진(崔德鎭)의 아들로 탁계(濯溪) 김상진(金相進)과 심재(心齋) 송환기(宋換箕)의 문인이다.
자질이 순수하고 집안의 학문을 이어 성리학에 밝았으며 문장도 능하였으나 벼슬길에는 나가지 않았다. 산목헌(山木軒) 김희순(金羲淳)․고동산초(古東山樵) 이익회(李翊會) 등과 함께 교유하였으며, 1804년 그의 선조 최홍림의 문집인 '계당유고(溪堂遺稿)'를 편집․간행하였다.
1845년(현종 11)에 사림(士林)들이 상소로 1852년(철종 3)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추증되었다.
키워드 | 화순최씨, 지담, 김상진, 송환기, 계당유고 간행 |
---|